본문 바로가기
꿀정보

전기요금 복지할인 총정리: 대상, 혜택, 신청 방법까지 완벽 가이드

by 인포캡틴(Info Captain) 2025. 1. 4.
반응형

 

전기요금 복지할인, 어떻게 신청하고 혜택받을 수 있을까?


전기요금 부담을 덜기 위해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한 전기요금 복지할인 제도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국가유공자, 기초생활수급자, 대가족/다자녀/출산가구, 장애인 등 여러 대상이 이에 해당되며, 혜택을 통해 월 요금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주요 할인 대상 및 조건, 신청 방법을 한눈에 정리한 가이드입니다.

 

1. 국가유공자 복지할인

국가유공자법에 따라 1~3급 상이자라면 전기요금 복지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대상: 주택용 및 일반용(숙박시설, 고시원 등)
  • 혜택: 월 최대 16,000원(여름철 20,000원) 할인
  • 적용 방식: 신청일 기준으로 일수 계산하여 할인

2. 기초생활수급자 복지할인

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생계·의료·주거급여 수급자라면 전기요금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혜택:
    •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월 최대 16,000원(여름철 20,000원)
    • 주거·교육급여 수급자: 월 최대 10,000원(여름철 12,000원)
    • 심야전력: 요금의 31.4%(갑), 20%(을) 할인
  • 신청: 인근 사업소 방문 필요

3. 대가족·다자녀·출산가구 복지할인

다인 가족, 다자녀 가구, 또는 영아가 있는 가구도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대상:
    • 5인 이상 가구
    • 3자녀 이상 가구
    • 출생 후 3년 미만 영아 포함 가구
  • 혜택: 해당 월 요금의 30% (최대 16,000원) 할인
  • 신청: 아파트 거주자는 관리사무소에서 가능

4. 독립유공자 복지할인

독립유공자 본인 또는 1명의 유족이 전기요금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대상: 주택용 및 일반용
  • 혜택: 월 최대 16,000원(여름철 20,000원) 할인

5. 사회복지시설 복지할인

사회복지시설도 전기요금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대상: 경로당, 갱생보호시설 등(일부 호화 시설 제외)
  • 혜택:
    • 주택용, 일반용: 요금의 30% 할인
    • 심야전력: 31.4%(갑), 20%(을) 할인

6. 장애인 복지할인

심한 장애를 가진 경우 전기요금 복지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대상: 주택용 및 일반용
  • 혜택: 월 최대 16,000원(여름철 20,000원) 할인

7. 차상위계층 복지할인

차상위계층에 대한 지원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 혜택:
    • 일반 요금: 월 최대 8,000원(여름철 10,000원)
    • 심야전력: 29.7%(갑), 18%(을) 할인
  • 재신청 필요: 1년마다 갱신

8. 5·18 민주유공자 복지할인

5·18 민주유공자 중 1~3급 상이자는 할인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 대상: 주택용 및 일반용
  • 혜택: 월 최대 16,000원(여름철 20,000원) 할인

9. 생명유지장치 복지할인

생명유지장치를 사용하는 고객은 별도의 한도 없이 할인이 적용됩니다.

  • 대상: 주거용 주택
  • 혜택: 요금의 30% 할인
  • 신청: 행정기관 또는 임대업체에서 대행 가능

10. 신청 방법과 절차

  • 접수 방법: 온라인, 팩스, 방문, 우편
  • 신청 절차:
    1. 신청서 제출
    2. 담당자 검토
    3. 할인 적용
  • 처리 기간: 신청 당일

 

위의 가이드 중 저는 출산가구 복지할인 혜택으로 신청을 진행해보았습니다.

 

 1) 먼저, 한전ON 사이트에 접속하여 로그인해줍니다.

 

https://online.kepco.co.kr/COM003D00

 

한전ON(한전온)

전기요금 조회·납부, 명의변경, 고객상담 등 전기사용 관련 고객서비스를 제공하는 한전의 대표 플랫폼

online.kepco.co.kr

 

2) 민원신청 > 복지할인 > 복지할인 신청버튼 클릭
3) 약관동의
4-1) 복지할인 대상자 정보 확인
4-2) 복지할인 유형 선택

 

5) 고객번호 선택

 

6-1) 공통주택정보 입력
6-2) 신청자정보 입력
6-3) 가구원정보 입력

 

여기서 파일첨부 부분의 "제출서류 안내"를 읽고 신청에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여 첨부하셔야 합니다.

6-4) 사전동의 및 신청완료

 

이렇게 모든 신청 절차가 끝났고, 결과만 기다리시면 됩니다. 

이런 좋은 혜택은 놓치지 말고 꼭 챙기시는게 좋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