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 확대! 소득 기준 완화·생계급여 인상으로 더 많은 시민 지원

by 인포캡틴(Info Captain) 2025. 2. 12.
반응형

[ 목차 ]

     

    서울시가 저소득층을 위한 긴급복지 지원을 한층 강화한다. 올해 기준중위소득 인상에 맞춰 ‘서울형 긴급복지지원’의 소득 기준이 완화되고, 생계급여 지원 금액도 상승했다. 서울시는 위기상황에 처한 시민을 더욱 신속하고 촘촘하게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142억 원 투입,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 본격 시행

    서울시는 2025년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 사업’에 총 142억 원을 투입하여 본격적인 지원에 나선다. 긴급복지가 필요한 가구는 거주지 동주민센터나 25개 자치구를 통해 상시 신청할 수 있으며, 본인이 아닌 위기 이웃을 발견한 경우에도 ☎120 다산콜센터를 통해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

    2015년 도입된 ‘서울형 긴급복지제도’는 갑작스러운 위기로 인해 생계가 어려워진 시민들을 돕기 위한 지원책이다. 주소득자의 사망, 질병, 실직, 휴·폐업 등 다양한 위기 상황에서 즉각적인 지원이 가능하며, 국가형 긴급복지제도의 보완적 역할을 하면서도 더 완화된 기준으로 운영되는 것이 특징이다.

     

     

    소득 기준 완화, 더 많은 시민이 혜택 받는다

    2025년부터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의 소득 기준이 상향 조정된다. 기준중위소득 인상에 맞춰 1인 가구 기준 7.3% 증가(2,228,445원 → 2,392,013원), 4인 가구는 6.4% 증가(5,729,913원 → 6,097,773원)한다. 이로 인해 보다 많은 시민이 지원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2025년 가구규모별 소득 기준(단위: 원)

     

    생계급여 지원 금액 인상, 실질적 도움 기대

    생계급여 지원 금액도 상향 조정됐다. 1인 가구는 2.4% 증가(713,100원 → 730,500원), 4인 가구는 2.1% 증가(1,833,500원 → 1,872,700원)했다.

    서울시는 최근 지속되는 고물가와 경기 침체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층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25년 가구규모별 생계 지원금액(단위: 원)

     

     

    긴급 지원 횟수 확대, 더 촘촘한 복지망 구축

    긴급복지 지원은 연 1회가 원칙이지만, 추가적인 위기 상황이 발생할 경우 1회 추가 지원이 가능하다. 특히 ‘고독사 고위험 가구’의 경우 생계 지원을 최대 3회까지 받을 수 있다.

    또한, 국가형 긴급복지 지원이 종료된 후에도 위기 상황이 지속되는 경우 연 1회에 한해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이 추가로 가능하다.

     

    담당자 선지원 제도 및 특별지원제도 운영

    서울시는 복지 사각지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기 상황을 막기 위해 ▲우선 지원 후 사후 승인을 받는 ‘담당자 선지원 제도’ ▲소득이나 재산 기준을 초과하더라도 지원하는 ‘특별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을 통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지며, 복지 사각지대를 더욱 효과적으로 해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의방법

    긴급복지 지원이 필요하거나 주변에 도움이 필요한 이웃이 있다면 가까운 동주민센터를 방문하거나 ☎120 다산콜센터를 통해 문의하면 된다. 서울시는 앞으로도 촘촘한 복지망을 구축하여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복지를 실현해 나갈 계획이다.

     

     

    내용출처: https://news.seoul.go.kr/welfare/archives/568209?listPage=1

     

    더 빠르고 촘촘하게…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기준 완화하고 본격 가동

    올해 기준중위소득이 인상되면서 ‘서울형 긴급복지지원’ 소득기준이 완화되고 생계급여 지원 금액도 오른다. 시는 올해도 위기상황에 처한 시민을 적극 발굴, ‘서울형 긴급복지지원’을 통

    news.seoul.g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