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꿀정보

서울시 1인 자영업자·프리랜서 출산급여! 최대 320만 원 지원받는 방법

by 인포캡틴(Info Captain) 2025. 3. 12.
반응형


전국 최초! 서울시, 1인 사장님과 프리랜서를 위한 출산급여 지원

바쁜 생계로 인해 출산 후에도 쉬지 못하는 1인 자영업자와 프리랜서를 위해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자영업자·프리랜서 출산급여’ 정책을 시행합니다. 이 정책은 출산 후에도 소득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소득과 관계없이 신청할 수 있어 많은 이들에게 희소식이 될 전망입니다.

 

출산 후 최대 320만 원 지원! 조건은?

이번 정책을 통해 출산한 1인 자영업자와 프리랜서는 최대 320만 원까지 출산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기존의 고용노동부 출산급여(150만 원)에 더해, 서울시에서 추가로 지원하는 90만 원이 더해지는 방식입니다.

🙍‍♀️ 지원 대상

  • 2024년 4월 22일 이후 출산한 서울 거주 여성
  • 1인 자영업자 또는 프리랜서
  • 소득과 무관하게 신청 가능

💸 지원 금액

  • 한 명 출산 시: 총 240만 원 (고용노동부 150만 원 + 서울시 90만 원)
  • 다태아 출산 시: 총 320만 원 (고용노동부 150만 원 + 서울시 170만 원)

배우자도 혜택! ‘프리랜서 남편 출산휴가급여’

출산한 여성뿐만 아니라 남편도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배우자가 출산한 1인 자영업자·프리랜서 남성도 최대 80만 원의 출산휴가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배우자 출산휴가급여 조건

  • 출산한 배우자가 있는 1인 자영업자, 프리랜서, 노무제공자, 플랫폼 종사자 남성
  • 배우자 출산일 이전 18개월 중 3개월 이상 소득 활동 기록 보유
  • 최대 80만 원 지원

신청 방법 및 기간

🗓️ 신청 방법

 

🗓️ 신청 기간

  • 2025년 3월 11일부터 신청 가능
  • 2024년 4월 22일 ~ 6월 30일 출산자는 2024년 6월 30일까지 신청
  • 출산급여: 출산일로부터 1년 이내 신청 가능
  • 배우자 출산휴가급여: 출산휴가 종료일로부터 1년 이내 신청 가능

🗓️ 지급 일정

  • 신청 후 2주 이내 지급 결정 통보
  • 올해 지원 대상은 총 2,060명
  • 내년에도 추가 예산 편성 후 지원 예정

이번 서울시의 출산급여 지원 정책은 그동안 복지 사각지대에 있던 1인 자영업자와 프리랜서를 위한 획기적인 조치입니다. 출산 후 경제적 부담을 덜고, 보다 안정적인 환경에서 출산과 육아를 준비할 수 있도록 많은 분들이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필요한 분들에게 꼭 전달될 수 있도록 널리 공유해 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