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전체 가구의 약 40%가 1인가구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서울시는 혼자 사는 시민들이 일상에서 느끼는 불편과 어려움을 덜고,사회적 고립과 외로움까지 예방할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을 확대합니다.
서울시는 ‘외로움 없는 서울’을 목표로,건강하고 안전한 일상은 물론, 사회적 연결과 자립 기반을 함께 강화해 나갑니다.
📈 1인가구 증가, 이제는 대표적인 가구 형태
- 2023년 기준 서울시 1인가구 수는 163만 가구
- 전체 가구(414만 가구)의 약 39.3% 차지(출처: 통계청)
🧩 서울시의 대응: 중장기 계획 수립 및 매년 시행
- 서울시는 1인가구를 위한 체계적인 지원을 위해 「1인가구 안심 종합계획(2022~2026)」을 2022년 1월 발표
- 변화하는 정책환경에 발맞춰 매년 시행계획 수립
- 촘촘하고 지속적인 맞춤형 정책 추진 중
📌 2025년 시행계획 핵심 방향
올해 서울시는 「2025년 서울시 1인가구 안심 시행계획」을 수립해 1인가구가 ‘혼자여도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다음 3대 분야 맞춤형 지원체계를 강화합니다.
- 일상지원 –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을 위한 실질적 서비스
- 자립지원 – 주거, 재정, 생활 역량 강화
- 연결지원 – 고립과 외로움 해소를 위한 사회적 네트워크 구축
특히 이번 계획에서는 그동안 정책 사각지대에 놓였던 중장년층에 대한 맞춤형 사업을 대폭 확대하고, 기존 정책도 실효성 있게 개선했습니다.
🧾2025년 서울시 1인가구 안심 시행계획 요약표
분야 | 과제 | 주요 추진사업 |
일상지원 | 건강생활 지원 | - 병원 안심동행서비스 개선 - 요리교실 및 소셜다이닝 확대 - 방문건강관리 - 손목닥터 9988 |
안전환경 조성 | - 안심장비 지원 확대 - 지능형 CCTV 확대 - 스마트 안심망 운영 - 골목길 스마트보안등 설치 - 안심귀가스카우트·안심택배함 - 범죄예방 인프라 구축 |
|
자립지원 | 자립역량 강화 | - 1인가구 정리수납 컨설팅 신규 - 1인가구 멘토링 - 경제교육 및 일자리 연계 확대 - 자립준비청년 생활‧경제 지원 |
주거안정 지원 | - 전월세 안심계약 도움서비스 개선 - 청년 중개보수·이사비 지원 확대 - 청년 월세 지원 확대 - 1인가구 주택관리서비스 -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지원 - 청년 안심주택‧공공주택 확대 - 세대통합형 주거모델 개발 |
|
연결지원 | 사회적관계망 활성화 | - 1인가구지원센터 운영 확대 - 고독 중장년 혼밥탈출 신규 - 1인가구 커뮤니티 활성화 개선 - 1인가구 소통공간 확대 - 우리동네 펫위탁소 확대 |
고립가구 발굴·상담·안부확인 | - 사회적 고립위험 1인가구 실태조사 - 고립가구 전담기구·생명이음청진기 운영 - 마음돌봄상담사·외로움돌봄동행단 - 우리동네돌봄단 - 스마트 안부확인 서비스 개선 |
🎈일상지원
👉 건강하고 안전한 일상생활을 위한 정책
-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 개선
- 병원 동행, 접수·수납·약국까지 함께
- 기존 주 2회 → 월 10회로 확대
- 1인가구 요리교실 확대
- 중장년 대상 ‘행복한 밥상’ → 25개 자치구로 확대
- 청년 대상 ‘건강한 밥상’ → 11개 자치구로 확대
- 안심장비 지원 확대
- 현관 안전장치, 스마트초인종, CCTV 등
- 1인가구 및 스토킹 피해자 대상 2,100여 명 지원
- 1인 점포 대상 ‘안심경광등’ → 2배 확대(10,000개)
- 지능형 CCTV 및 스마트 보안등 확대
- AI기반 CCTV 신설 1,800대, 노후 CCTV 3,300대 교체
- 스마트 보안등 4,000등 추가 설치 (총 22,000여 등 운영)
🏠자립지원
👉 경제적·주거적 자립 역량 강화
- 정리수납 컨설팅 (신규)
- 중장년 대상 정리수납 교육 및 챌린지 운영
- 저장강박·고위험군엔 현장 컨설팅 지원
중장년 1인가구를 위한 서울시 정리수납 지원사업 시작: 삶의 질 높이는 꿀팁 공개
서울시가 중장년 1인가구의 삶을 바꾸기 위한 첫걸음을 내딛습니다.정리에 어려움을 겪는 중장년층을 위해 서울시가 새롭게 ‘정리수납 지원사업’을 추진하며,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과 함께
world-info-room.tistory.com
(열심히 정리한 블로그 참고글😁)
- 1인가구 맞춤형 경제교육 확대
- 재테크·신용관리 등 재무교육
- 은퇴설계·경력전환 교육 및 1:1 상담 제공
- 전월세 안심계약 도움서비스 개선
- 집보기 동행, 계약 상담, 정책 안내
- 야간(20시까지), 토요일 운영 추가
- 청년 부동산 중개비 및 이사비 지원 확대
- 만 19~39세, 무주택 청년 대상 최대 40만원
- 지원 인원 확대
2025 서울시 청년 중개보수·이사비 지원사업 시작! 최대 40만원 지원받는 법
서울시가 이사 잦은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기 위해 ‘2025년 청년 부동산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사업’을 본격 추진합니다. 만 19세~39세 청년이라면 최대 40만 원 실비 지원을 받을 수 있는
world-info-room.tistory.com
(열심히 정리한 블로그 참고글😁)
- 청년 월세 지원 확대
- 월세 최대 20만원 × 12개월
- 군 복무 기간만큼 지원 연령 상향(최대 만 42세)
- 청년 한부모·전세사기 피해자 우선 지원
💊연결지원
👉 사회적 고립·은둔·외로움 예방
- 1인가구지원센터 운영 확대
- 교육·상담·여가 프로그램
- 중장년 프로그램 이용연령 64세 → 67세로 확대
- 고독 중장년 ‘혼밥탈출’ 프로그램 (신규)
- 식사 공유를 통한 사회적 연결
- 25개 자치구에서 공동식사 지원
- 1인가구 커뮤니티 활성화
- 지역 봉사·자조모임 운영
- 지속 가능한 사회적 네트워크 구축
- 우리동네 펫위탁소 확대
- 입원 등 부재 시 반려동물 1주일간 위탁
- 8개 자치구 → 17개 자치구로 확대
- 우리동네돌봄단 및 스마트 안부확인 개선
- 고위험군: 돌봄단 방문/전화 확인
- 저위험군: IoT·AI로 비대면 안부확인
📌 신청 및 운영 안내
- 서울시 1인가구포털
- 다산콜센터(☎ 120)
'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가구·오피스텔도 가능! 층간소음 무료 측정 서비스, 수도권·광주부터 전국 확대 예정 (1) | 2025.04.16 |
---|---|
구로구 1인가구 도심캠핑 ‘구로스테이’ 참가자 모집! 불멍·요리로 함께하는 불금 소셜링 (3) | 2025.04.14 |
2025 서울시 청년 중개보수·이사비 지원사업 시작! 최대 40만원 지원받는 법 (2) | 2025.04.10 |
물가 걱정 끝! 전통시장에서 국산 농축산물 구매 시 20% 할인받는 방법 총정리 (2) | 2025.04.09 |
중장년 1인가구를 위한 서울시 정리수납 지원사업 시작: 삶의 질 높이는 꿀팁 공개 (2)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