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꿀정보

서울시 1인가구 지원정책 총정리: 외로움 없는 삶을 위한 2025년 안심계획

by 인포캡틴(Info Captain) 2025. 4. 12.
반응형

 

서울시 전체 가구의 약 40%가 1인가구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서울시는 혼자 사는 시민들이 일상에서 느끼는 불편과 어려움을 덜고,사회적 고립과 외로움까지 예방할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을 확대합니다.

서울시는 ‘외로움 없는 서울’을 목표로,건강하고 안전한 일상은 물론, 사회적 연결과 자립 기반을 함께 강화해 나갑니다.

 

📈 1인가구 증가, 이제는 대표적인 가구 형태

  • 2023년 기준 서울시 1인가구 수는 163만 가구
  • 전체 가구(414만 가구)의 약 39.3% 차지(출처: 통계청)

🧩 서울시의 대응: 중장기 계획 수립 및 매년 시행

  • 서울시는 1인가구를 위한 체계적인 지원을 위해 「1인가구 안심 종합계획(2022~2026)」을 2022년 1월 발표
  • 변화하는 정책환경에 발맞춰 매년 시행계획 수립
  • 촘촘하고 지속적인 맞춤형 정책 추진 중

📌 2025년 시행계획 핵심 방향

올해 서울시는 「2025년 서울시 1인가구 안심 시행계획」을 수립해 1인가구가 ‘혼자여도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다음 3대 분야 맞춤형 지원체계를 강화합니다.

  • 일상지원 –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을 위한 실질적 서비스
  • 자립지원 – 주거, 재정, 생활 역량 강화
  • 연결지원 – 고립과 외로움 해소를 위한 사회적 네트워크 구축

특히 이번 계획에서는 그동안 정책 사각지대에 놓였던 중장년층에 대한 맞춤형 사업을 대폭 확대하고, 기존 정책도 실효성 있게 개선했습니다.

 

🧾2025년 서울시 1인가구 안심 시행계획 요약표

분야 과제 주요 추진사업
일상지원 건강생활 지원 - 병원 안심동행서비스 개선
- 요리교실 및 소셜다이닝 확대
- 방문건강관리
- 손목닥터 9988
안전환경 조성 - 안심장비 지원 확대
- 지능형 CCTV 확대
- 스마트 안심망 운영
- 골목길 스마트보안등 설치
- 안심귀가스카우트·안심택배함
- 범죄예방 인프라 구축
자립지원 자립역량 강화 - 1인가구 정리수납 컨설팅 신규
- 1인가구 멘토링
- 경제교육 및 일자리 연계 확대
- 자립준비청년 생활‧경제 지원
주거안정 지원 - 전월세 안심계약 도움서비스 개선
- 청년 중개보수·이사비 지원 확대
- 청년 월세 지원 확대
- 1인가구 주택관리서비스
-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지원
- 청년 안심주택‧공공주택 확대
- 세대통합형 주거모델 개발
연결지원 사회적관계망 활성화 - 1인가구지원센터 운영 확대
- 고독 중장년 혼밥탈출 신규
- 1인가구 커뮤니티 활성화 개선
- 1인가구 소통공간 확대
- 우리동네 펫위탁소 확대
고립가구 발굴·상담·안부확인 - 사회적 고립위험 1인가구 실태조사
- 고립가구 전담기구·생명이음청진기 운영
- 마음돌봄상담사·외로움돌봄동행단
- 우리동네돌봄단
- 스마트 안부확인 서비스 개선

 

🎈일상지원

👉 건강하고 안전한 일상생활을 위한 정책

  •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 개선
    • 병원 동행, 접수·수납·약국까지 함께
    • 기존 주 2회 → 월 10회로 확대
  • 1인가구 요리교실 확대
    • 중장년 대상 ‘행복한 밥상’ → 25개 자치구로 확대
    • 청년 대상 ‘건강한 밥상’ → 11개 자치구로 확대
  • 안심장비 지원 확대
    • 현관 안전장치, 스마트초인종, CCTV 등
    • 1인가구 및 스토킹 피해자 대상 2,100여 명 지원
    • 1인 점포 대상 ‘안심경광등’ → 2배 확대(10,000개)
  • 지능형 CCTV 및 스마트 보안등 확대
    • AI기반 CCTV 신설 1,800대, 노후 CCTV 3,300대 교체
    • 스마트 보안등 4,000등 추가 설치 (총 22,000여 등 운영)

🏠자립지원

👉 경제적·주거적 자립 역량 강화

  • 정리수납 컨설팅 (신규)
    • 중장년 대상 정리수납 교육 및 챌린지 운영
    • 저장강박·고위험군엔 현장 컨설팅 지원
 

중장년 1인가구를 위한 서울시 정리수납 지원사업 시작: 삶의 질 높이는 꿀팁 공개

서울시가 중장년 1인가구의 삶을 바꾸기 위한 첫걸음을 내딛습니다.정리에 어려움을 겪는 중장년층을 위해 서울시가 새롭게 ‘정리수납 지원사업’을 추진하며,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과 함께

world-info-room.tistory.com

(열심히 정리한 블로그 참고글😁)

  • 1인가구 맞춤형 경제교육 확대
    • 재테크·신용관리 등 재무교육
    • 은퇴설계·경력전환 교육 및 1:1 상담 제공
  • 전월세 안심계약 도움서비스 개선
    • 집보기 동행, 계약 상담, 정책 안내
    • 야간(20시까지), 토요일 운영 추가
  • 청년 부동산 중개비 및 이사비 지원 확대
    • 만 19~39세, 무주택 청년 대상 최대 40만원
    • 지원 인원 확대
 

2025 서울시 청년 중개보수·이사비 지원사업 시작! 최대 40만원 지원받는 법

서울시가 이사 잦은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기 위해 ‘2025년 청년 부동산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사업’을 본격 추진합니다. 만 19세~39세 청년이라면 최대 40만 원 실비 지원을 받을 수 있는

world-info-room.tistory.com

(열심히 정리한 블로그 참고글😁)

  • 청년 월세 지원 확대
    • 월세 최대 20만원 × 12개월
    • 군 복무 기간만큼 지원 연령 상향(최대 만 42세)
    • 청년 한부모·전세사기 피해자 우선 지원

💊연결지원

👉 사회적 고립·은둔·외로움 예방

  • 1인가구지원센터 운영 확대
    • 교육·상담·여가 프로그램
    • 중장년 프로그램 이용연령 64세 → 67세로 확대
  • 고독 중장년 ‘혼밥탈출’ 프로그램 (신규)
    • 식사 공유를 통한 사회적 연결
    • 25개 자치구에서 공동식사 지원
  • 1인가구 커뮤니티 활성화
    • 지역 봉사·자조모임 운영
    • 지속 가능한 사회적 네트워크 구축
  • 우리동네 펫위탁소 확대
    • 입원 등 부재 시 반려동물 1주일간 위탁
    • 8개 자치구 → 17개 자치구로 확대
  • 우리동네돌봄단 및 스마트 안부확인 개선
    • 고위험군: 돌봄단 방문/전화 확인
    • 저위험군: IoT·AI로 비대면 안부확인

📌 신청 및 운영 안내

  • 서울시 1인가구포털
  • 다산콜센터(☎ 1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