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

2025년 전기이륜차 보조금 총정리: 지원 확대 및 충전 인프라 강화

by 인포캡틴(Info Captain) 2025. 3. 17.
반응형

 

전기이륜차 보급이 더욱 활발해진다. 환경부는 올해 전기이륜차 2만 대 보급을 목표로 총 160억 원의 구매보조금을 지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배터리교환형 충전시설 500기 설치를 지원하기 위해 총 50억 원을 추가로 투입한다.

 

💸 충전속도 개선 차량, 추가 보조금 지급

기존 전기이륜차 이용자들이 가장 큰 불편으로 꼽았던 충전속도를 개선한 차량에 대해서는 추가 보조금이 지급된다. 차량 규모별 보조금 한도 내에서 최대 10만 원까지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상태 정보를 차량 디스플레이나 모바일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차량에도 동일한 금액의 추가 보조금이 지급될 예정이다. 이는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전기이륜차 이용 확대를 유도하기 위한 조치다.

 

🛵 성능에 따라 차등 지급…전기이륜차 품질 향상 기대

환경부는 올해 발표한 보조금 정책을 통해 연비, 배터리 용량, 등판능력 등 성능이 우수한 차량일수록 더 많은 보조금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했다. 이를 통해 국내 전기이륜차 시장의 기술 발전을 촉진하고, 전기이륜차의 성능 향상을 유도할 계획이다.

또한, 배터리교환형 전기이륜차 지원도 확대된다. 기존에는 차량 가격에서 배터리 가격이 제외되는 특성상 보조금의 60%만 지급했으나, 올해부터는 70%로 상향 조정된다. 이는 배터리 용량을 늘리기 어려운 교환형 배터리의 특성을 반영한 조치로, 사용자 편의를 높이고 전기이륜차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 국가표준 적용 확대

배터리교환형 충전시설과 관련한 정책도 개선된다. 2023년 국가표준(KS표준)이 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제작사별로 다른 배터리팩이 적용되어 이용자 불편이 지속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올해부터는 국가표준을 준수하지 않는 충전시설에는 설치비용 지원이 제한된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줄이고, 이용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목표다.

 

🎉 업계 예측 가능성 확대…기술 투자 활성화 기대

이번 정책 개편에서는 보조금 산정 시 변동값이었던 연비 및 등판계수를 고정값으로 변경하는 조치도 포함됐다. 이를 통해 업계가 보다 안정적으로 기술 개발에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보조금 산정 방식이 단순화되면서, 전기이륜차 제조업체들은 중·장기적인 기술 발전 전략을 더욱 체계적으로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전기이륜차 지원사업, 4월 공모 예정

환경부가 확정한 ‘2025년 전기이륜차 보급사업 보조금 업무처리지침’ 및 ‘2025년 전기이륜차 배터리교환형 충전시설 설치 보조사업 운영지침’은 17일부터 무공해차 통합 누리집(ev.or.kr)에 게재된다. 또한, 전기이륜차 배터리교환형 충전시설 보급사업은 지역별 무공해차 전환 브랜드 사업 공모 지침에 따라 4월 중 공모가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전기이륜차 보조금 확대 및 충전 인프라 지원 정책이 전기이륜차 시장의 성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귀추가 주목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