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

국민내일배움카드 훈련비 200만 원 추가 지원! 취약계층 혜택 총정리

by 인포캡틴(Info Captain) 2025. 1. 5.
반응형

 

취업과 직무 능력 향상을 위한 대표적인 제도인 국민내일배움카드가 올해부터 더욱 확대된 혜택을 제공합니다.

특히 취약계층의 훈련비 추가 지원이 기존 100만 원에서 200만 원으로 늘어나, 고용 안정과 자립을 위한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 글에서는 이번 제도 개정의 주요 내용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취약계층 훈련비 지원 확대: 100만 원 → 200만 원

고용노동부는 고용 불안정 계층의 훈련 기회를 늘리기 위해 훈련비 추가 지원 금액을 기존 100만 원에서 200만 원으로 상향했습니다.

  • 대상자:
    • 기간제·단시간·파견·일용근로자
    • 고용위기지역 및 특별고용지원업종 종사자

기존에 계좌 한도 300만 원을 소진한 경우에도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직업훈련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2. 가정 밖 청소년 지원 강화: 자부담률 대폭 낮춰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가정 밖 청소년들에게도 훈련비 지원이 크게 강화되었습니다.

  • 자부담률 인하: 기존 15~55%에서 0~20%로 낮춤
  • 훈련비 추가 지원: 계좌 한도 소진 시 200만 원 추가 지원
  • 대상 요건:
    • 가정 해체, 방임, 학대 등으로 보호자로부터 이탈된 청소년
    • 청소년복지시설 입·퇴소 확인서 제출

이번 지원을 통해 가정 밖 청소년들의 자립과 직업능력 향상을 돕는 데 크게 기여할 전망입니다.

 

3. 원격훈련 과정 확대: 구직자 기회 확대

기존에는 실업자 원격훈련 과정으로 한정됐던 수강 기회가 대폭 확대되었습니다.

  • 구직자도 재직자 원격훈련 일부 과정 수강 가능
  • 추가된 훈련 과정: 22개 훈련기관, 597개 과정(추후 변동 가능성 있음)

이로 인해 구직자들이 훈련 선택의 폭을 넓히고,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성을 키울 수 있게 되었습니다.

 

4. 지원 제도 개정의 의의

이번 국민내일배움카드 운영규정 개정은 고용 상태가 불안정한 근로자와 청소년 등 취약계층의 직업훈련 접근성을 대폭 개선한 점에서 큰 의의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대상자들은 더 나은 일자리와 안정적인 사회 진입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혜택을 누리기 위한 TIP

  • 신청 조건 확인: 국민내일배움카드 혜택은 대상에 따라 지원 내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관련 서류 준비: 가정 밖 청소년은 청소년복지시설 입·퇴소 확인서 등을 반드시 제출해야 합니다.
  • 훈련 과정 탐색: 고용노동부 공식 홈페이지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훈련 과정을 미리 찾아보세요.

이번 개정을 통해 국민내일배움카드는 단순한 훈련비 지원을 넘어, 취약계층의 삶의 질 향상과 자립 지원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습니다. 직업훈련을 계획 중이라면, 새롭게 확대된 혜택을 적극 활용해 보세요!

반응형